본문 바로가기

교회관련

20230715 토 김병삼목사님 매일만나 "죽음에 관해 생각하다"

728x90
반응형
SMALL

- 디모데후서 4장 6절-8절

6절) 전제와 같이 내가 벌써 부어지고 나의 떠날 시각이 가까웠도다

7절) 나는 선한 싸움을 싸우고 나의 달려갈 길을 마치고 믿음을 지켰으니

8절) 이제 후로는 나를 위하여 의의 면류관이 예비되었으므로 주 곧 의로우신 재판장이 그 날에 내게 주실 것이며 내게만 아니라 주의 나타나심을 사모하는 모든 자에게도니라 

 

 

-

<죽음에 관해 생각하다>

죽음을 생각하는 자만이 진지한 삶을 살 수 있습니다. 

사도 바울은 수많은 위기 앞에서 항상 죽음을 생각해야 했고, 이제는 죽음이 얼마 남지 않았음을 직감합니다. 

그는 지난달을 돌아보며 '선한 싸움을 싸우고, 믿음을 지켰다'고 고백합니다. 

그의 고백에서 두려움이나 절망은 찾아볼 수 없습니다. 

 

죽음앞에서 이렇게 당당해지려면 무엇을 해야할까 ?

살아가는 목적을 생각해야 합니다. 

우리가 살아가는 목적과 이유를 알려면, 하나님으로부터 출발해야 합니다. 

하나님이 우리를 지으셨기 때문입니다. 

하나님 안에서만 삶의 의미와 목적, 인생의 소중함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사도 바울이 죽음 앞에서 후회 없었던 비결은 지나온 삶이 만족스러웠기 때문일 것 입니다.

 

그는 예수님의 죽음을 자기 몸에 짊어지고 산다고 했습니다.

주님을 위해 죽을 수 있는 사람이 주님과 함께 부활에 동참하게 됩니다. 

 

죽음과 친해져야 합니다. 우리가 죽음을 비통하게 받아들이는 이유는 바로 사랑하는 사람들과 영원히 

분리된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우리는 죽음을 절망이 아닌 소망으로 받아들일 수 있어야 합니다. 

소망을 품고 죽음에 직면할때, 우리는 성실하고 여유롭게 살아갈 수 있습니다. 

 

죽음을 준비해야 합니다. "죽음은 끝이 아니라 삶의 연장이고 삶의 완성이라는 걸 진정으로 이해하지 못한다면, 

편안하게 죽음을 맞이할 수 없어요. 죽음을 정확히 이해하고, 죽을 준비를 충분히 하고, 

편안하게 죽는것. 이게 바로 웰다잉이죠." 죽음 준비만큼 엄숙한 것은 없습니다.

그 준비는 바로 오늘을 진지하게 사는 것입니다. 

 

죽음 준비는 남아 있는 삶에 대한 태도를 바꾸어 줍니다. 

하나님 앞에서 부끄러움 없이 사는 것이 얼마나 아름다운 죽음을 맞이하게 하는지를 늘 가슴에 새기고, 

그리스도인다운 삶을 살아가야겠습니다.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