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오늘새로알게된것

20230519 목요일, 경제성장률, GDP, GNP 용어정리

728x90
반응형
SMALL

 

복지국가론 수업을 들으면서, 산업화 이론에 대해 공부하면서, 1인당 GNP가 복지 국가 발전을 설명하는데 중요한 변수로 나타날 수도 있다는 문장을 읽었다. 어렸을때, GDP/GNP에 대해 공부를 했는데 순간 혼동이 되어 다시 찾아보게 된 용어를 정리해보려고 한다. 

 

먼저, 경제성장률이란 ?

: 일정기간 동안 한나라의 경제규모를 뜻한다. 

국민소득 규모가 얼마나 커졌는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경제성장률(%) = (금년 실질GDP -  전년 실질 GDP) / 전년 실질 GDP  X 100 

 

: 실질 국내총생산의 연간 증가율을 백분율로 나타낸 것을 의미한다. 

즉, 금년의 실질 GDP가 작년보다 얼마나 더 증가했는지 감소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실질 국내총생산 (Gross Domestic Product, GDP)

: 일정 기간(보통 1년) 동안 한 나라, 영토 안에서 가계, 기업, 정부 등 모든 경제 주체가 생산 활동에 참여하여 만들어진 거시경제계정표, 대차대조표를 말합니다. 경제분석, 의사결정, 정책입안을 위해 경제데이터를 이용하여 제공될 수 있는 종합적인 회계체계를 제공. 

 

작년에 생산된것, 한국 기업이 외국에 가서 생산된것은 절대 포함하지 X 

GDP는 명목GDP와 실질GDP로 나뉘어지는데, 

- 명목 GDP(경상가격 GDP) : 해당연도의 시장가격으로 측정한 GDP.

   물가 상승률을 고려하지 않아, 주로 한 국가의 경제규모와 다른 나라와의 경제규모를 비교할 때 사용. 

- 실질 GDP(불변가격 GDP) : 가격 변화를 제거하고 산출한 GDP.

   물가상승률을 고려하여, 경제성장이나 경기변동이 기준연도 대비해서 어느정도로 변했는지를 파악할때 사용되는 지표.

국민총생산(Gross National Product, GNP)

: 한 국가의 국민이 일정기간(보통 1년) 동안 생산한 재화와 서비스를 모두 합한 금액. 

일정기간 생산한 재화와 서비스를 시장에서 가격을 매겨서 평가하고, 이 가격에서 중간 생산물을 뺀 

최종 생산물의 총액을 국민총생산이라고 합니다. 

 

국가안에서 이루어졌다 할지라도 외국인이나 외국소유 기업에서 생산되었다면 제외. 

외국에서 생산했다 할지라도 내국인에 의해 생산이 되었다면 GNP에 포함.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