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국가론 수업을 들으면서, 산업화 이론에 대해 공부하면서, 1인당 GNP가 복지 국가 발전을 설명하는데 중요한 변수로 나타날 수도 있다는 문장을 읽었다. 어렸을때, GDP/GNP에 대해 공부를 했는데 순간 혼동이 되어 다시 찾아보게 된 용어를 정리해보려고 한다.
먼저, 경제성장률이란 ?
: 일정기간 동안 한나라의 경제규모를 뜻한다.
국민소득 규모가 얼마나 커졌는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경제성장률(%) = (금년 실질GDP - 전년 실질 GDP) / 전년 실질 GDP X 100
: 실질 국내총생산의 연간 증가율을 백분율로 나타낸 것을 의미한다.
즉, 금년의 실질 GDP가 작년보다 얼마나 더 증가했는지 감소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실질 국내총생산 (Gross Domestic Product, GDP)
: 일정 기간(보통 1년) 동안 한 나라, 영토 안에서 가계, 기업, 정부 등 모든 경제 주체가 생산 활동에 참여하여 만들어진 거시경제계정표, 대차대조표를 말합니다. 경제분석, 의사결정, 정책입안을 위해 경제데이터를 이용하여 제공될 수 있는 종합적인 회계체계를 제공.
작년에 생산된것, 한국 기업이 외국에 가서 생산된것은 절대 포함하지 X
GDP는 명목GDP와 실질GDP로 나뉘어지는데,
- 명목 GDP(경상가격 GDP) : 해당연도의 시장가격으로 측정한 GDP.
물가 상승률을 고려하지 않아, 주로 한 국가의 경제규모와 다른 나라와의 경제규모를 비교할 때 사용.
- 실질 GDP(불변가격 GDP) : 가격 변화를 제거하고 산출한 GDP.
물가상승률을 고려하여, 경제성장이나 경기변동이 기준연도 대비해서 어느정도로 변했는지를 파악할때 사용되는 지표.
국민총생산(Gross National Product, GNP)
: 한 국가의 국민이 일정기간(보통 1년) 동안 생산한 재화와 서비스를 모두 합한 금액.
일정기간 생산한 재화와 서비스를 시장에서 가격을 매겨서 평가하고, 이 가격에서 중간 생산물을 뺀
최종 생산물의 총액을 국민총생산이라고 합니다.
국가안에서 이루어졌다 할지라도 외국인이나 외국소유 기업에서 생산되었다면 제외.
외국에서 생산했다 할지라도 내국인에 의해 생산이 되었다면 GNP에 포함.
'오늘새로알게된것'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럴드하비 Harold Harvey, 20세기 영국의 화가 작품 ✨ (0) | 2023.05.29 |
---|---|
20230524 수 안티프래질이란 (0) | 2023.05.24 |
20230404 기울어진 운동장 (0) | 2023.04.04 |
20230329 스티그마효과(낙인효과)와 피그말리온효과 (0) | 2023.03.29 |
삼족오란 ? 다리가 세개인 까마귀 (0) | 2023.03.15 |